Ko/$model (VMT): Difference between revisions
< Ko
		
		
		
		Jump to navigation
		Jump to search
		| m (-Using L template for links) | m (Multipage removal) | ||
| Line 1: | Line 1: | ||
| {{ | {{LanguageBar}} | ||
| Line 21: | Line 22: | ||
| *{{L|Materials for models|모델에 쓰이는 재질들}} | *{{L|Materials for models|모델에 쓰이는 재질들}} | ||
| *{{L|$model (QC)}} | *{{L|$model (QC)}} | ||
| {{ACategory|Shader parameters|model}} | |||
Latest revision as of 03:42, 12 July 2024
재질 marks a material as for use on a 모델 rather than a .
모델에 쓰이는 $model 재질을 듯한다. 맵 에디터 해머에서 쓰이는 브러쉬형태와는 다른 타입인듯 하다.
이 것은 오직 UnlitGeneric 과 Refract 같은 쉐이더가 둘다 적용 가능할때 쓰인다.
 메모: 의도 파악이 안되는군요. apply to either가 어디에 적용이 된다는것인지 모르겠네요.
메모: 의도 파악이 안되는군요. apply to either가 어디에 적용이 된다는것인지 모르겠네요.
It is only necessary with shaders that could apply to either, like UnlitGeneric or Refract.
VMT 명령어 문법 예제
$model 1

























